콘크리트 3

콘크리트는 삭막하지 않다 (下) -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뒷이야기

2024.07.02 - [현대의 일상을 만든 사람들] - 콘크리트는 삭막하지 않다 (上) -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뒷이야기 콘크리트는 삭막하지 않다 (上) -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뒷이야기한국인과 아파트 통계청의 2022년 기준 인구주택 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전체 주택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64%라고 한다. 가구수로 따지면 전체 가구의 52.4%가 아파트에 거주하lonedaisy.tistory.com2024.07.02 - [현대의 일상을 만든 사람들] - 콘크리트는 삭막하지 않다 (中) -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뒷이야기 콘크리트는 삭막하지 않다 (中) -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뒷이야기2024.07.02 - [현대의 일상을 만든 사람들] - 콘크리트는 삭막하지 않다 (上) -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콘크리트는 삭막하지 않다 (中) -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뒷이야기

2024.07.02 - [현대의 일상을 만든 사람들] - 콘크리트는 삭막하지 않다 (上) -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뒷이야기 콘크리트는 삭막하지 않다 (上) -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뒷이야기한국인과 아파트 통계청의 2022년 기준 인구주택 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전체 주택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64%라고 한다. 가구수로 따지면 전체 가구의 52.4%가 아파트에 거주하lonedaisy.tistory.com 현대적인 시멘트를 만든 사람 역사적으로 여러 종류의 시멘트가 개발되고 사용되었지만 지금 우리가 쓰는 시멘트는 19세기 영국의 벽돌공인 조셉 아스프딘(Joseph Aspdin)이 개발한 시멘트에서 출발했다. 1778년 영국의 리즈에서 태어난 조셉 아스프딘은 역시 벽돌공이었던 아버지와 함께 일하다..

콘크리트는 삭막하지 않다 (上) -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뒷이야기

한국인과 아파트 통계청의 2022년 기준 인구주택 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전체 주택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64%라고 한다. 가구수로 따지면 전체 가구의 52.4%가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다. 1970년만 해도 전체 가구의 95%가 단독주택에 거주했던 것을 생각해 보면 겨우 50년 만에 우리나라의 주거양식이 크게 바뀌었다는 걸 알 수 있다.나 역시 단독주택에 살다가 80년대 후반부터 아파트로 이사와 살기 시작했다. 직접 살아보니 여러모로 좋은 점들이 많았다. 우선 건물과 공동설비의 유지보수를 직접 할 필요도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단지 내에 CCTV와 경비가 있으니 보안 걱정이 덜하고, 주차난이 상대적으로 덜하다. 택배 받기도 쉽고, 무엇보다 겨울에 덜 추워서 난방 비용도 덜 들어간..